※ 글로벌 인프라
: 전 세계 주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위치시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
: 전 세계 25개의 지리적 리전 내에 81개의 가용 영역을 운영 (2021-10-24 기준)
: 리전과 가용 영역을 계속 추가중
1. 리전 (Region)
: AWS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 (국가 및 지역)
: 리전이 여러 곳에 있는 이유는 네트워크 속도, 재해에 대비해 백업되어 있는 데이터는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
: 리전 안에 여러 개의 가용 영역 (Availability Zone) 이 있다
: 웹 브라우저 (AWS 매니지먼트 콘솔), 프로그래밍 언어 (SDK 활용), OS 명령 라인 도구 (CLI)를 통해 조작 가능
: 멀티 리전 구성 = 여러 개의 리전을 사용한 시스템 구성
: 리전간 통신은 백본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 , 백본 네트워크 인프라에 문제 발생 시 인터넷을 사용하기도 한다
2. 가용 영역 (Availability Zone)
: 데이터 센터와 같은 의미
: 하나의 리전 내에 2개 이상의 AZ 가 존재
: AZ 끼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그 이유는 하나의 AZ에 문제 발생시 다른 가용 영역에서 서비스를 재개 가능
: 멀티 AZ 구성 = 여러 개의 AZ를 사용한 시스템 구성 : 가용성과 내결함성을 위해 멀티 AZ 구조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추천
3. 엣지 로케이션 (Edge Location)
: AWS의 CDN 서비스인 CloudFront, DNS 서비스인 Route53의 캐시 서버
: 캐싱을 이용해 다른 리전간 CloudFront의 정적 콘텐츠 빠른 전송, Route53의 DNS 쿼리 처리를 도와준다
: WAF, Shield, DDoS 공격 솔루션 관련 설정도 할 수 있다
→ CDN (Contents Delivery Network)
: 정적 콘텐츠 (HTML, 이미지, 영상, 기타 파일)을 사용자들이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엣지 로케이션에 복제하는 서비스
4. 리전 선택
▶ 데이터 주권 및 규정 준수
: 데이터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국가 및 지역 법의 적용을 받는다
: 관련된 지역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률이 있는가?
: 고객 데이터를 해외에 저장할 수 있는가?
: 거버넌스 의무를 준수할 수 있는가?
▶ 사용자와 데이터 간 근접성
: 사용자들과의 물리적 거리의 근접성을 고려해야 한다
: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리전을 선택할 것
▶ 서비스 및 기능 가용성
: 리전마다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르다
: 일부 서비스는 교차 리전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지연 시간이 증가
: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새 리전으로 확장 중
▶ 비용 효율성
: 비용은 리전별로 다르다
: S3와 같은 일부 서비스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떄 비용이 발생
: 전체 환경을 다른 리전으로 복제하는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(Amazon Web Services) - 계정 보안 설정 (0) | 2021.10.24 |
---|---|
AWS (Amazon Web Services) - 계정 생성 (0) | 2021.10.24 |
AWS (Amazon Web Services) - Well Architected Framework Tool (0) | 2021.10.24 |
AWS (Amazon Web Services) - 특징 (0) | 2021.10.21 |
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(Cloud Computing Service) (0) | 2021.10.19 |